고물가가 계속되면서 기업들은 수익을 유지하거나 증대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이 '슈링크플레이션'입니다. 이번에는 슈링크플레이션의 의미부터 실제 기업들의 사례까지 살펴보겠습니다.
슈링크플레이션 무슨 뜻인가?
슈링크플레이션은 "크기나 중량을 줄이면서 제품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여 간접적으로 가격을 올리는 전략"을 가리킵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Shrink(줄이다)'와 'Inflation(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제품의 크기가 줄어들면서 사실상 소비자에게는 물가 상승이 발생하게 됩니다.
소비자들은 제품의 크기나 무게가 줄어든 것에도 불구하고 가격은 그대로인 것을 보고 기업의 소비자를 속이는 '기만 행위'로 비판합니다. 이런 비판은 특히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시기에 더 거세지고 있습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의 실제 사례
다양한 기업들이 슈링크플레이션 전략을 채택하여 제품의 크기나 무게를 줄이고 있습니다. 몇 가지 실제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1) CJ제일제당은 숯불향 바베큐바의 크기를 280g에서 230g으로 줄이면서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여 사실상 단위 가격이 올랐습니다.
2) 동원은 양반김의 무게를 5g에서 4.5g로 줄이고도 가격은 동일하게 유지하여 소비자에게는 사실상 물가가 오른 것입니다.
3) 해태제과는 고향만두의 무게를 줄이는 등의 방법으로 슈링크플레이션을 시행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제품 크기나 무게를 줄이면서도 가격은 그대로 둔 채 소비자에게는 사실상 가격 인상을 하는 것으로 비춰집니다.
대응 방향
이러한 현상에 대한 소비자들의 비판이 높아지면서 정부와 관련 기관들도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몇몇 국가에서는 소비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제품 크기나 무게의 변화를 소비자에게 알리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결론
슈링크플레이션은 기업들이 물가 상승에 대응하여 소비자에게 감추어진 형태로 가격을 올리는 전략으로, 소비자들의 비판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정부와 기업들은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여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하고 물가의 안정을 이뤄나가야 할 것입니다.
'경제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금균등상환 특징 및 장점 알아보기 (0) | 2024.02.03 |
---|---|
국내총생산(GDP) 뜻과 구성 요소, 사례 한방에 정리 (0) | 2024.02.02 |
외부효과 의미와 중요성 이해하기 (0) | 2024.02.01 |
혼합경제 의미(특징) 및 한계 살펴보기 (0) | 2024.01.31 |
스태그플레이션? 뜻과 사례 알아보기 (0) | 2024.01.30 |